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책
- 취미
- 빅테크
- 프리다이버
- 반도체란
- 노마드투자자
- 삼성전자
- the money book
- 반도체
- 3급공채
- 입주전시공
- 일본#후쿠시마#오염수#방류#방사선#방사능#오염#피폭#발암물질#해산물#논란#뉴스
- 더머니북
- 닉슬립
- 독서
- ai서버
- 프리다이빙
- 자카리아
- freediving
- 반도체기초
- w를찾아서
- 프리다이빙입문
- 사진
- brownian
- MOSFET
- 반도체 #tsmc #일본반도체정책 #대만일본협력 #기술격차 #문화충돌 #경제안보 #공급망 #국제협력 #산업정책
- 파이썬
- 수학#통계#몬테카를로#montecarlo#확률#과학
- 트랜지스터
- 직장인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책
- 취미
- 빅테크
- 프리다이버
- 반도체란
- 노마드투자자
- 삼성전자
- the money book
- 반도체
- 3급공채
- 입주전시공
- 일본#후쿠시마#오염수#방류#방사선#방사능#오염#피폭#발암물질#해산물#논란#뉴스
- 더머니북
- 닉슬립
- 독서
- ai서버
- 프리다이빙
- 자카리아
- freediving
- 반도체기초
- w를찾아서
- 프리다이빙입문
- 사진
- brownian
- MOSFET
- 반도체 #tsmc #일본반도체정책 #대만일본협력 #기술격차 #문화충돌 #경제안보 #공급망 #국제협력 #산업정책
- 파이썬
- 수학#통계#몬테카를로#montecarlo#확률#과학
- 트랜지스터
- 직장인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8)
sean's archive

1. 세이노?✋저는 대학교 입시를 준비할때도, 대학원 입학을 준비할때도, 취업을 준비할때도,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었습니다. 혼자서 낯선 도전을 한다는 것은 외로운 일이었죠.🥲 지금에야 커뮤니티나 SNS 들이 워낙 활성화 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넷에 검색 몇번 해보면 원하는 정보를 대부분 얻을 수 있습니다만, 그 당시 (2010년도 초중순) 에는 정보를 찾기도 쉽지 않았습니다. 정보가 없는 저에게 세상은 친절하지 않았습니다. 고등학생때는 담임의 무관심 속에 수시 입학 원서도 몇군데 써보지 못했구요. 고생해서 들어간 대학원은, 지도교수의 무지막지한 갑질과 인격모독으로 인해 제대로 결실을 맺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그 와중에 최대한 아둥바둥 하여 살았기 때문에 (어떻게든 우상향 하고자 하는 노력) 입..

🏊♂️ 프리다이빙의 세계로 풍덩! 🌊안녕하세요, 여러분! 프리다이빙이라는 멋진 수중 활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리다이빙이 무엇인지 잘 모르신 분들, 한번 해볼까 고민중인 분들을 위해서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준비되셨나요? 사실 이전 글에서 프리다이빙에 대한 간단한 Q&A 를 했었습니다만..😅 글을 작성한지 꽤나 오랜 시간이 지났고, 저도 그 사이 강사 자격증을 따고난 후 여기저기 투어를 많이 다녀온 뒤라, 글을 새롭게 리뉴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글쓰기 스타일도 많이 고민을 했었구요) 2022.11.20 - [프리다이빙] - 프리다이빙 시작하기 - 시작 전 간단 Q&A 프리다이빙 시작하기 - 시작 전 간단 Q&A0. Intro 취미로 프리다이빙을 즐기다 보니 자격증도 따고 잠수풀..

시골의사 박경철 선생님의 명강의 일명 'w를 찾아서' 로 2008년 아주대학교 강의를 보고.1. 스토리 📖박경철 선생님은 서울에 있는 모 경제 연구소에 있는 친구에게 좋은 강연이 있다고 들으러 오라는 제안을 받게 됩니다. 백수 친구와 같이 강연을 들으러 갑니다. 50명정도 규모 되는 강의실에, 한국 최고의 연구소에 다니는 박사급 연구원들이 꽉 차있었습니다. 그 시절은 길거리에 다닐 때도 검은 양복에 흰색 와이셔츠를 입을 때였는데, 강사는 무릎이 다 나온 찢어진 청바지에 뉴욕 양키스 모자를 쓰고 나왔다고 합니다. ⚠️불편한 기색이 역력한 와중에, 강의가 시작되었습니다.⚠️ 제일 먼저 칠판에 적은게 "www" 입니다.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w 의 세상이 오고, 이 안에 은행, 증권사도 들어오고 무기도 ..

현재 회사를 다닌 지 이제 5년차가 되었습니다. 어느새 한 신입사원을 맡아서 성장시켜 줄 수 있는 사람이 된거죠. 공식적으로 한 친구의 멘토를 맡게 된 바, 사내 멘토링 교육에 다녀오게 되었습니다.멘토 : 해당 직업분야에 능통한 사람으로서, 조언과 격려를 해주는 조언자 역할멘티 : 해당 분야의 경험은 부족하지만 충분한 잠재 능력과 가능성을 지닌 사람을 의미 1. 멘토링 성공 조건🏆멘토링 강사님과 짧은 문답을 하였습니다. Q : 멘토링을 성공하려면 가장 중요한 게 뭘까요? A : 지식? 멘토의 역량? 투자? Q : 가장 중요한 것은, 멘티를 잘 만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멘티도 멘토를 잘 만나는 게 중요하고요. 결국 사람이 가장 중요하다는 얘기이지요. 멘토링에 있어 중요한 것은, 멘티의 성격과 ..

심리학을 잘 이해하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특히 무언가를 주고 받을 때) 에서 이를 잘 활용하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설득의 심리학은 유명 인사들의 책에서 레퍼런스로 꾸준히 언급되는 명서로서, 꼭 한번쯤은 읽어볼만한 가치가 있는 좋은 책 입니다.1. 심리학이란?심리학이란 인간의 행동과 정신 과정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학문이죠. "특정한 상황에서 이렇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라는 것을 분석하는 것 입니다. 대표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무언가를 받으면 그만큼 돌려줘야 한다는 암묵적인 규칙이 있죠. 결혼식때 축의금을 받았으면, 그 사람들의 결혼식에는 꼭 다시 축의를 해야한다는 것과 비슷합니다. 물론 나는 다르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 대다수 사람들의 행동 양식이 이런 성향..

1. 강사로서 인사드립니다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다이빙 글을 남깁니다.🤿 다이빙을 시작한지 2년 반이 지나 Freediver, Advance Freediver, Master Freediver 를 지나 어느새 저는 강사가 되었습니다. 취미로 시작한 프리다이빙이었고 큰 욕심은 없었지만, 조금씩 조금씩 하다 보니 어느 새 강사 자격증까지 따고 있는 저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회사-집만 왔다갔다 하다 보니 결이 비슷한 사람들을 주로 보게 되죠. 하지만 다이빙을 하면서 세계 여기저기 누비다 보니 정말 다양한 성격과 스타일의 사람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나도 초보 강사이니 나의 연습 상대가 되어주라' 라는 목적으로 돈을 받지 않고 강습을 몇번 해줬는데요. 이게 소문이 좀 나다보니 여기저기서 문의가 ..

1. 노마드 투자자 조합💵💰어떤 투자자가 연 복리 21%를 달성했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그 투자자는 성공한 투자자일까요? 몇몇 코인들은 하루에 수십 퍼센트씩 등락을 반복하는게 일상이고, 많은 나스닥 종목들도 하루에 수 퍼센트 움직이는 종목들이 허다합니다.하지만 답은? 절대적으로 맞다 입니다. '노마드 투자조합'을 운영했던 닉슬립과 자카리아는 13년 동안 누적 수익률 921%, 연 복리 21% 를 달성하여 투자 업계의 전설이 되었습니다.🏆 성공한 투자자들은 항상 부자가 되는 것에 집착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이 가진 지식과 지성을 총동원해서, 옳은 선택을 함과 동시에 남들에게 휘둘리지 않는 독립적인 사고방식을 가졌죠. 2. 최근의 성공트렌드💪최근 우리나라에 범람하는 성공 관련 책들을 읽어보면, 어떤..

쉬운 글이 좋은 글인가? 사람들에게 많이 읽히는 글, 블로그에서 조회수가 높은 글에는 공통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블로그 글쓰기 관련 책을 보면 강조되는 사항이 있다. "짧게, 읽기 쉽게, 최대한 간결하게 써라" 단어를 최대한 쉽게 쓰고, 문장을 짧게 끊어 쓰고, 누구나 읽기 쉽게 쓰라는 것이다. 이렇게 쓴 글이 읽기 쉽고 보기 편하다는 것은 맞다. 실제로 많은 이웃분들도 이런 방식으로 글을 쓰고 계신다. 그런데 이렇게 쓰인 글이 과연 머리속에 많이 남을까? 두뇌의 반응 뇌과학의 어떤 인지 반응 검사에 따르면, 이해하기 쉬운 것을 보거나 읽을 때에는 정신적인 지름길을 이용하게 된다. 뇌에서 따로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이건 생각의 속도가 빨라지는 게 아니라 생각을 건너 ..

1.CXL 이란? 차세대 컴퓨팅 기술인 CXL 이 올해 상반기부터 상업화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와 관련하여, 관련 주식들이 들썩이기도 한다. HBM 이니 CXL 이니 새로운 기술들이 쉬지도 않고 계속 나온다. CXL 이 뭘까? CXL (Compute Express Link)은 2019년 3월 인텔이 제안한, 컴퓨터 내부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새로운 방법(컴퓨터 디바이스 인터커넥터 규격)이다. Compute Express Link(CXL) a Coherent Interface for Ultra High Speed Transfers, Kurt Lender, CXL Marketing Work Group Intel Corporation, Flash Memory Summit 2019 Santa Clara, p.4..

1. 벡터와 스칼라 세상의 물리량은 크게 두 가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벡터와 스칼라 입니다. 스칼라는 크기만 가지고 있는 물리량을 뜻합니다. 예를 들면 몸무게가 40kg 라 가벼운 편이다, 온도가 30 도라 따뜻하다, 소리가 너무 크다 등등의 표현을 할때 사용되는 것이 스칼라 입니다.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가지고 있는 물리량을 뜻합니다. 차가지고 부산 방향으로 시속 100km/h 으로 내려가고 있어 라던가, 타자가 포수에게 시속 150km/h 의 공을 던졌다던가 할때 이런 움직임을 벡터를 사용해서 표현합니다. 2. 벡터의 표현법 벡터는 간단하게 화살표로 표현합니다. 시작점과 끝점만 있으면 됩니다. 어디서부터 시작하던 상관 없습니다. 다만 이런 벡터를 표현하는 방식은 있어야 겠죠? 보통 원점을 기준으로..

1.랜덤한 운동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물에 떠다니는 가루들, 특별한 사건이 없을 때 주가의 움직임 등등.. 세상에는 랜덤한 것으로 보이는 움직임들이 있습니다. 이런 입자(혹은 다른 것)의 움직임은 말 그대로 자기 마음대로 (랜덤) 이기 때문에 어떤 규칙도 없을까요? 아니요. 그렇지 않습니다. 불규칙한 움직임들 (stochastic) 도 물리적으로 분석이 되었는데 이를 브라운 운동(Brownian motion)이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브라우니안 모션 인데 갈색이나 또는 음식 브라우니와는 전혀 관련이 없고 로버트 브라운이라는 과학자가 밝혀낸 표류하는 입자에 대한 서술입니다. 2. 상황 가정 상황을 하나 가정해 봅시다. 위, 아래, 양옆으로 랜덤으로 움직이는 어떤 입자 (가루, 먼지 등등 어떤 것이라도)..

1.허수 세상에는 여러 숫자가 있습니다. 손으로 셀 수 있는 숫자인 자연수(1, 2, 3, ...) 부터 시작해서 분수(1/3), 정수, 유리수, 무리수 등등 수에는 분류가 있습니다. 숫자가 길건 짧건 복잡하건간에 이런 숫자들은 모두 실제로 존재합니다. 그래서 실제로 존재하는 수인 '실수' 라고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 숫자들을 종류별로 나눠놓은 기준을 수 체계(number system)라고 합니다. 잠깐 다른 얘기를 해봅시다. 제곱근(square root) 이라는 정의가 있습니다. 2를 두번 곱하면 4 입니다. 2는 4의 제곱근 입니다. (2 x 2 = 4) 3을 두번 곱하면 9 입니다. 3은 9의 제곱근 입니다. (3 x 3 = 9) 그렇다면 2의 제곱근은 무엇일까요? (? x ? = 2) 답은 1.4..

1.확률과 경우의 수 주사위를 하나 던지면 1-6 사이의 숫자가 하나 나오게 됩니다. 1, 2, 3, 4, 5, 6, 이렇게 한 사건에 대해 일어나는 방법이 여러가지 있을때 이를 경우의 수 라고 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 중에서 3 이 나오는 경우의 수는? 총 1개 입니다. 3이 나올 확률은 3이 나올 경우의 수를 전체 경우의수로 나눈 1/6 약 16.6% 입니다 2. 큰 수의 법칙 체감상 그렇지 않은 것 같나요? 주사위를 열번 던져보면 실제로 숫자가 균일하게 나오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하지만 주사위를 던지는 횟수를 10, 100, 1000, .... 으로 늘려보면 어떨까요? 그러면 한 숫자가 나올 확률이 16.6% 으로 수렴하게 됩니다...

0. Intro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이하 후쿠시마 원전 사고) 가 터졌습니다. 그 후 12년이 지난 지금, 일본 정부에서는 오염수를 바다로 방류하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분리가 어려운 '삼중수소' 가 얼마나 위험하고, 얼마나 포함되어있느냐 라는 것 입니다. 이에 대해 너무 많은 비과학적인 얘기들이 나오고 있어,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일단 과학적인 사실부터 알아야 합니다. 美 “일본 절차에 만족”…‘오염수 방류’ 지지 성명뉴스 내용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탱크. [사진 연합뉴스][이코노미스트 이혜리 기자] 미국 국무부가 25일(현지시간) 일본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방류 결정을 지지한다는 공식 성명을 발표했다. ..

*주의*스포는 아니지만, 영화와 관련된 과학적, 역사적 배경지식이 담겨 있습니다. 아무런 사전 지식 없이 영화를 보고 싶으신 분은 뒤로 가기를 눌러주세요 0. 글에 앞서올해의 기대작,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 가 오늘(8/15) 개봉했습니다. 핵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과학자 '오펜하이머'의 이야기입니다. 과거 인터스텔라, 인셉션, 테넷 등을 매우 재미있게 보았던 저는 영화가 개봉하자마자 영화관으로 달려갔습니다.글의 주제가 핵 개발이다 보니 물리학 관련 인물, 대화가 수도 없이 나옵니다. 그런데 이에 대해 영화 내에서 친절하게 설명해 주지 않습니다. 물리학을 전공한 저도 영화의 흐름을 따라가는 게 쉽지 않았는데, 다른 분들은 어떨까 싶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내용 이해를 힘들어하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