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i서버
- 파이썬
- w를찾아서
- 입주전시공
- 더머니북
- 프리다이빙입문
- brownian
- 사진
- 자카리아
- 프리다이버
- 책
- 반도체란
- 노마드투자자
- 빅테크
- 반도체기초
- the money book
- 취미
- MOSFET
- 반도체 #tsmc #일본반도체정책 #대만일본협력 #기술격차 #문화충돌 #경제안보 #공급망 #국제협력 #산업정책
- 수학#통계#몬테카를로#montecarlo#확률#과학
- 트랜지스터
- 일본#후쿠시마#오염수#방류#방사선#방사능#오염#피폭#발암물질#해산물#논란#뉴스
- 반도체
- 독서
- freediving
- 삼성전자
- 닉슬립
- 3급공채
- 직장인
- 프리다이빙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i서버
- 파이썬
- w를찾아서
- 입주전시공
- 더머니북
- 프리다이빙입문
- brownian
- 사진
- 자카리아
- 프리다이버
- 책
- 반도체란
- 노마드투자자
- 빅테크
- 반도체기초
- the money book
- 취미
- MOSFET
- 반도체 #tsmc #일본반도체정책 #대만일본협력 #기술격차 #문화충돌 #경제안보 #공급망 #국제협력 #산업정책
- 수학#통계#몬테카를로#montecarlo#확률#과학
- 트랜지스터
- 일본#후쿠시마#오염수#방류#방사선#방사능#오염#피폭#발암물질#해산물#논란#뉴스
- 반도체
- 독서
- freediving
- 삼성전자
- 닉슬립
- 3급공채
- 직장인
- 프리다이빙
- Today
- Total
목록잡담 (15)
sean's archiv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tHoV/btsI1QTdnbq/vZJLRRFb4QMXrDoZrvw0rk/img.png)
현재 회사를 다닌 지 이제 5년차가 되었습니다. 어느새 한 신입사원을 맡아서 성장시켜 줄 수 있는 사람이 된거죠. 공식적으로 한 친구의 멘토를 맡게 된 바, 사내 멘토링 교육에 다녀오게 되었습니다.멘토 : 해당 직업분야에 능통한 사람으로서, 조언과 격려를 해주는 조언자 역할멘티 : 해당 분야의 경험은 부족하지만 충분한 잠재 능력과 가능성을 지닌 사람을 의미 1. 멘토링 성공 조건🏆멘토링 강사님과 짧은 문답을 하였습니다. Q : 멘토링을 성공하려면 가장 중요한 게 뭘까요? A : 지식? 멘토의 역량? 투자? Q : 가장 중요한 것은, 멘티를 잘 만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멘티도 멘토를 잘 만나는 게 중요하고요. 결국 사람이 가장 중요하다는 얘기이지요. 멘토링에 있어 중요한 것은, 멘티의 성격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7EP9/btsFHoU91In/EGOq6x0oQmKL3RkiCWCjcK/img.png)
쉬운 글이 좋은 글인가? 사람들에게 많이 읽히는 글, 블로그에서 조회수가 높은 글에는 공통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블로그 글쓰기 관련 책을 보면 강조되는 사항이 있다. "짧게, 읽기 쉽게, 최대한 간결하게 써라" 단어를 최대한 쉽게 쓰고, 문장을 짧게 끊어 쓰고, 누구나 읽기 쉽게 쓰라는 것이다. 이렇게 쓴 글이 읽기 쉽고 보기 편하다는 것은 맞다. 실제로 많은 이웃분들도 이런 방식으로 글을 쓰고 계신다. 그런데 이렇게 쓰인 글이 과연 머리속에 많이 남을까? 두뇌의 반응 뇌과학의 어떤 인지 반응 검사에 따르면, 이해하기 쉬운 것을 보거나 읽을 때에는 정신적인 지름길을 이용하게 된다. 뇌에서 따로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이건 생각의 속도가 빨라지는 게 아니라 생각을 건너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wtRC/btsyTw5XRno/WCBlXjGwhDK3ZmdRc7A4H1/img.png)
1. 벡터와 스칼라 세상의 물리량은 크게 두 가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벡터와 스칼라 입니다. 스칼라는 크기만 가지고 있는 물리량을 뜻합니다. 예를 들면 몸무게가 40kg 라 가벼운 편이다, 온도가 30 도라 따뜻하다, 소리가 너무 크다 등등의 표현을 할때 사용되는 것이 스칼라 입니다.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가지고 있는 물리량을 뜻합니다. 차가지고 부산 방향으로 시속 100km/h 으로 내려가고 있어 라던가, 타자가 포수에게 시속 150km/h 의 공을 던졌다던가 할때 이런 움직임을 벡터를 사용해서 표현합니다. 2. 벡터의 표현법 벡터는 간단하게 화살표로 표현합니다. 시작점과 끝점만 있으면 됩니다. 어디서부터 시작하던 상관 없습니다. 다만 이런 벡터를 표현하는 방식은 있어야 겠죠? 보통 원점을 기준으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LUot/btsvDkVjp5h/qBxah31lr01sTiQW4RUpr1/img.png)
1.랜덤한 운동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물에 떠다니는 가루들, 특별한 사건이 없을 때 주가의 움직임 등등.. 세상에는 랜덤한 것으로 보이는 움직임들이 있습니다. 이런 입자(혹은 다른 것)의 움직임은 말 그대로 자기 마음대로 (랜덤) 이기 때문에 어떤 규칙도 없을까요? 아니요. 그렇지 않습니다. 불규칙한 움직임들 (stochastic) 도 물리적으로 분석이 되었는데 이를 브라운 운동(Brownian motion)이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브라우니안 모션 인데 갈색이나 또는 음식 브라우니와는 전혀 관련이 없고 로버트 브라운이라는 과학자가 밝혀낸 표류하는 입자에 대한 서술입니다. 2. 상황 가정 상황을 하나 가정해 봅시다. 위, 아래, 양옆으로 랜덤으로 움직이는 어떤 입자 (가루, 먼지 등등 어떤 것이라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6x4Rc/btsvlJukFK8/3N8a0MDhcgklkrUUJqXTb0/img.jpg)
1.허수 세상에는 여러 숫자가 있습니다. 손으로 셀 수 있는 숫자인 자연수(1, 2, 3, ...) 부터 시작해서 분수(1/3), 정수, 유리수, 무리수 등등 수에는 분류가 있습니다. 숫자가 길건 짧건 복잡하건간에 이런 숫자들은 모두 실제로 존재합니다. 그래서 실제로 존재하는 수인 '실수' 라고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 숫자들을 종류별로 나눠놓은 기준을 수 체계(number system)라고 합니다. 잠깐 다른 얘기를 해봅시다. 제곱근(square root) 이라는 정의가 있습니다. 2를 두번 곱하면 4 입니다. 2는 4의 제곱근 입니다. (2 x 2 = 4) 3을 두번 곱하면 9 입니다. 3은 9의 제곱근 입니다. (3 x 3 = 9) 그렇다면 2의 제곱근은 무엇일까요? (? x ? = 2) 답은 1.4..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cG2Jp/btsvHhpnSWz/ObjgmXvJqunKVqFN7YyEb1/img.jpg)
1.확률과 경우의 수 주사위를 하나 던지면 1-6 사이의 숫자가 하나 나오게 됩니다. 1, 2, 3, 4, 5, 6, 이렇게 한 사건에 대해 일어나는 방법이 여러가지 있을때 이를 경우의 수 라고 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 중에서 3 이 나오는 경우의 수는? 총 1개 입니다. 3이 나올 확률은 3이 나올 경우의 수를 전체 경우의수로 나눈 1/6 약 16.6% 입니다 2. 큰 수의 법칙 체감상 그렇지 않은 것 같나요? 주사위를 열번 던져보면 실제로 숫자가 균일하게 나오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하지만 주사위를 던지는 횟수를 10, 100, 1000, .... 으로 늘려보면 어떨까요? 그러면 한 숫자가 나올 확률이 16.6% 으로 수렴하게 됩니다...